■ 연준의 경제 대응법
■ 연준의 경제 대응법
- 이번 FOMC의 핵심은 두 가지. 첫번째는 'Trump Dependence'. 경제를 예단하지 않고 데이터에 기반해 정책을 운영하겠다는 'Data Dependence' 같은 개념임. 행정부의 정책에 바로 반응하지 않고, 그 정책이 어떻게 경제와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일단 본 다음에 대응하겠다는 것. Powell 의장의 'Net Effect' 발언이 인상깊었음
- 두번째는 경기에 대한 연준의 대응법. 금리정책은 물가에 핀트를 꽂은 것이 맞아보임. 성명서에 'roughly in balance'가 빠졌고, 어쨌든 경제는 괜찮을 것이라는 연준의 예상을 같이 보면 "마침 경제가 버텨줄 것 같으니 양대책무 중 물가에 조금 더 집중하겠다"로 해석이 가능함
- 그러면 기준금리 인하 없이 어떻게 혹시모를 경기 부진에 대응할 수 있을까? 대차대조표 정책임. 연준에 대차대조표를 보면 첫번째 페이지가 우리가 아는 자산 - 부채 + 자본형식이 아닌 '준비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Factors Affecting Reserve Balances of Depository Institutions and Condition State of Federal Reserve Banks)'이 나타남
- 준비금을 뺸 연준 보유 자산을 유동성 공급(Total Factors Supplying Reserve Funds)과 흡수(Absorbing Reserve Funds)로 나눈 페이지인데, 공급에 포함되는 자산이 늘어나면 유동성이 풀리고, 흡수 자산이 늘어나면 유동성을 흡수한다고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연준의 국채 보유량(공급쪽 항목)이 늘어나면 그 만큼 돈을 주고 사온다는거니까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고, RRP(흡수쪽 항목) 잔고가 늘어나면 돈이 들어오는거니까 유동성을 흡수하는 것임
- 이 두 가지 요인을 비율('공급/흡수')로 보면 1일 때가 연준의 유동성 정책을 중립적이라고 볼 수 있음. 반면, 1이 넘어가면 유동성을 공급하게 됨.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연준 자산은 언제나 공급 자산이 흡수 자산보다 많았음. 3년이 다 되가도록 QT가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공급/흡수' 비율은 1.9배에 달함
- 신기하게도(조금 더 공부해봐야겠지만 아마 안할수도) 계속해서 유동성이 공급되는대도 물가는 크게 자극받지 않는 반면(왼쪽 차트), 경기는 민감하게 반응(오른쪽 차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음. 즉, 물가를 건드리지 않는 이 정책을 통해 경기 둔화를 방어해보겠다는 것
- QT의 여러 속도조절 결정 배경에는 이 고민도 분명 있었을 것으로 추정함. 점진적인 양적긴축은 유동성 공급 우위 정책이 중립수준으로 가는 것을 늦출 수 있음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뉴욕증시 상승]
[02월 18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2025년 2월 18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 25년 2월 18일 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02월 1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2월 18일)
2024년말 가계빚 ‘역대 최대’… 주담대 안정화 추세
美-러, 오늘 우크라 종전 첫 협상…트럼프 "푸틴 곧 만날 수도"
02/18 유럽 증시, 방위비 증액 기대로 관련 기업이 상승을 주도
2025년 2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해외선물 기초]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지표 활용법
![[해외선물 기초]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지표 활용법](/upload/5d445e9dec324e7087f3944c2a95d158.webp?thumbnail)
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비둘기파, 당연직)
Patrick Harker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없음) Michelle Bowman 연준 이사(매파, 당연직)
EU, 재정지출 상한 항목에서 국방비를 면제할 것이라는 얘기 돌면서 유럽 방위주(w. 항공우주) 대거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