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카페

"美 관세정책, K-배터리엔 기회…북미 ESS 배터리 생산해야"

1
항셍왕
2025.04.15 추천 0 조회수 2990 댓글 0
공유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8회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NGBS 2025)'에서 "대중국 관세로 미국 ESS 시장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중국산 배터리의 공급이 막히면, 이는 한국 업체들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북미 ESS 배터리 수요는 78GWh(기가와트시)로 이 가운데 약 87%(68GWh)가 중국산 배터리였다. 현재 중국 CATL, BYD, EVE 등이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시장 주도권을 쥐고 있다.

ESS는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돌파구로 부상하고 있는 분야로, 북미 ESS 배터리 시장은 올해 97GWh에서 오는 2030년에는 179GWh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을 겨냥한 미국발 관세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책정됨에 따라 한국 배터리 업체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중국산 배터리 셀에 고율 관세가 매겨지면 중국 배터리 업체의 기존 고객의 수요가 줄고, 이 공백을 한국 기업들이 채울 수 있다는 게 오 부사장의 분석이다.

또 한국 업체들이 북미 생산 시 관세를 회피할 수 있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소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에 나서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84%(총 104%)로 올렸으며 이날 다시 21%포인트를 높인 상태다.
 

오 부사장은 "북미 ESS 수요는 지속 확대되고 있는데 (중국 업체가 빠지면) ESS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한국뿐"이라며 "미국 관세 정책으로 중국산 배터리는 계속 가격이 오르게 되고, 한국 업체가 미국에서 배터리를 생산하면 AMPC를 받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에 라인을 개조하든 공장을 짓든 해야 하고, 전 세계 ESS 시장에서 고착화된 '각형 LFP'를 해야 한다"며 "(한국의) 양극재 업체들도 배터리 업체들의 생산 계획에 맞춰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미국 미시간주에 위치한 제너럴모터스(GM)와의 3번째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 3기 인수를 공식화하고, 미시간 홀랜드 공장과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의 ESS 제품 생산을 발표했다.

다만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과 북미 시장의 위축 리스크는 남아있어 빠른 시일 내에 시장에 진입해 생산을 본격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 부사장은 "IRA 보조금 축소나 중국산 원재료의 높은 의존도, 코스트(비용) 상승으로 인한 시장 위축은 위기 요인일 수 있다"며 "2025∼2026년 내 북미 생산과 소재 내재화가 성공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72708
추천 0
2024.09.27

2025년 3월 20일 목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1124
추천 0
2025.03.20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3월 20일)

1
항셍왕
조회수 1812
추천 0
2025.03.20

★★03월 20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1097
추천 0
2025.03.20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항셍왕
조회수 1726
추천 0
2025.03.20

美 변동성지수 3월 들어 처음으로 안정세

1
항셍왕
조회수 1755
추천 0
2025.03.20

같은 금리동결인데…대만은 뛰고 중국·홍콩은 내리고 [Asia오전]

1
항셍왕
조회수 1789
추천 0
2025.03.20

■ 연준의 경제 대응법

1
홍콩
조회수 1795
추천 0
2025.03.20

2025년 03월20일 [목] 💗아침 뉴스 헤드라인💗

1
홍콩
조회수 1058
추천 0
2025.03.20

[삼성 이영진] 글로벌 SW 헤드라인 (25/3/20)

1
홍콩
조회수 1819
추천 0
2025.03.20

[3/20, 이슈 분석, 키움 한지영] 오늘자 장 시작전 생각은 이슈분석 FOMC 코멘트로 대체합니다.

1
홍콩
조회수 1191
추천 0
2025.03.20

안녕하세요,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에서 시황/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민입니다.

1
홍콩
조회수 1962
추천 0
2025.03.20

250320_[3월 FOMC] 관세 영향 확인 후 인하 재개

1
홍콩
조회수 1318
추천 0
2025.03.20

[뉴욕증시 상승]

1
홍콩
조회수 2120
추천 0
2025.03.20

[03월 19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2573
추천 0
2025.03.19

📮 25년 3월 19일 수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1
항셍왕
조회수 2661
추천 0
2025.03.19
14 15 16 17 18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8201f09f1b6e45ed8795751ad6ed884a.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