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시황 12/2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Web발신]
12/2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12월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될 듯 말 듯
▶ 자료: https://bit.ly/4ibKJs5
*(현재 변화)미국 증시는 반도체 주가만 상승하는 모습에서 변화. S&P500 Tech 섹터 내에서도 S/W나 H/W 업종 주가가 상대적으로 강세, S&P500도 시가 가중 보다 동일 가중 지수 수익률이 높음
*(변화 근거)2025년 브로드컴(EPS 증가율 전망치 266%)이나 AMD(117%)와 같은 엔비디아(133%)경쟁기업들의 이익증가율이 엔비디아만큼 높음. AI의 B2C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업인 애플(21%), 알파벳(38%), 테슬라(41%)등도 엔비디아와의 이익증가율 격차 축소 예상
*(주가 본질)주가를 결정하는 변수는 이익. 국내 증시 고전 이유는 2024~25년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때문. S&P500지수도 PER이 높아 기대수익률(3.9%)이 10년물 국채금리를 하회
*(중요 변수)미국이나 국내 증시 모두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필요. 매크로 변수에서 찾고자 한다면 연준 기준금리 인하, 트럼프의 감세 정책 등을 감안 시 미국 제조업과 가계 체감경기 개선 가능성에서 기회가 생길 것으로 판단
*(미국 업종)미국 체감경기 개선 시 S&P500지수 내 반도체를 제외한 주도 업종은 S/W와 H/W다. 그리고 제조업 체감경기 개선은 운송과 자본재, 가계 체감경기 개선은 유통과 소비자서비스에 유리
*(국내 업종)미국 체감경기 개선 시 코스피 내 반도체를 제외한 주도 업종은 자동차, 기계, 소프트웨어, 조선, 지주/상사(방산). 해당 업종들은2020년 이후 미국 체감경기 변화에 대한 이익 추정치 변화 및 주가 수익률 민감도가 반도체 보다 더 높아진 업종들
*(국내 약점)국내 반도체와 자동차는 관세 이슈가 노이즈. 미국에서 무역적자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는 품목은 IT와 자동차. 국가별 무역적자 규모도 국내가 8번째로 크고, 대(對)미국 수출비중도 20% 수준으로 높은 편
*(국내 기업 선별_1)트럼프 정책 기조 중 하나가 미국 인프라 재건, 리쇼어링. 미국 내 투자가 위축됐던 산업재 섹터의 투자 확대 가능성 높고, 미국 산업재 섹터 투자 확대 시 해외(미국 포함)매출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재 기업에게 기회(본문 25p)
*(미국과 국내 기업 선별_2)기업은 보유한 현금을 효율적으로 써야 주가 재평가. 시가총액 대비 잉여현금 비율이 높고, 최근 ROIC가 높거나, 주주환원율이 높은 기업에 관심(본문 29~30p)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함)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 25년 2월 18일 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02월 18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 (매-세-지, 2월 18일)
2024년말 가계빚 ‘역대 최대’… 주담대 안정화 추세
美-러, 오늘 우크라 종전 첫 협상…트럼프 "푸틴 곧 만날 수도"
02/18 유럽 증시, 방위비 증액 기대로 관련 기업이 상승을 주도
2025년 2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해외선물 기초]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지표 활용법
![[해외선물 기초]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지표 활용법](/upload/5d445e9dec324e7087f3944c2a95d158.webp?thumbnail)
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비둘기파, 당연직)
Patrick Harker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중립, 투표권 없음) Michelle Bowman 연준 이사(매파, 당연직)
EU, 재정지출 상한 항목에서 국방비를 면제할 것이라는 얘기 돌면서 유럽 방위주(w. 항공우주) 대거 상승
